국어의 로마자 표기법

국립국어원에서 제정한 한국어 로마자 표기 공식 규정입니다.

표기법 개요

제정 배경•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를 통일하여 국제적 소통을 원활하게 함
• 한국어의 음성적 특징을 정확히 반영
•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로마자 표기 체계 구축
적용 범위• 인명, 지명의 로마자 표기
• 공공기관, 단체명의 로마자 표기
• 간판, 표지판 등의 로마자 표기
• 학술 자료, 출판물의 로마자 표기

자음 표기법

기본 자음
한글로마자예시
g, k가방 → gabang, 악기 → akgi
n나무 → namu
d, t다리 → dari, 맏이 → maji
r, l라디오 → radio, 설날 → seolnal
m마음 → maeum
b, p바람 → baram, 밥 → bap
s사람 → saram
ng강물 → gangmul
j자동차 → jadongcha
ch차례 → charye
k코끼리 → kokkiri
t타자기 → tajagi
p파도 → pado
h하늘 → haneul
된소리 (경음)
한글로마자예시
kk깍지 → kkakji
tt딸기 → ttalgi
pp뿌리 → ppuri
ss씨앗 → ssiat
jj짜장면 → jjajangmyeon

모음 표기법

단모음
한글로마자예시
a아버지 → abeoji
eo어머니 → eomeoni
o오늘 → oneul
u우리 → uri
eu으뜸 → eutteum
i이름 → ireum
ae개나리 → gaenari
e게시판 → gesipan
복합모음
한글로마자예시
ya야구 → yagu
yeo여름 → yeoreum
yo요리 → yori
yu유치원 → yuchiwon
yae얘기 → yaegi
ye예의 → yeui
wa과자 → gwaja
wae왜냐하면 → waenyahamyeon
oe외국 → oeguk
wo원숭이 → wonsungi
we웨딩드레스 → wedingdeureseu
wi위험 → wiheom
ui의사 → uisa

표기 세칙

1. 음성 변화 반영• 한국어의 실제 발음에 따라 표기
• 자음동화, 모음조화 등의 음성 변화 적용
• 예: 맏이 → maji (맏+이 → 마지)
2. 어간과 어미 구분• 용언의 어간과 어미를 구분하여 표기
• 예: 먹어 → meogeo, 읽다 → ikda
3. 고유명사 표기• 인명: 성과 이름을 띄어 쓰되, 이름은 붙여 씀
• 지명: 행정구역 단위로 띄어 씀
• 예: 김민수 → Kim Minsu, 서울특별시 → Seoul-teukbyeolsi
4. 된소리 표기• 된소리는 해당 자음을 두 번 써서 표기
• 예: ㄲ → kk, ㄸ → tt, ㅃ → pp, ㅆ → ss, ㅉ → jj
5. ㅇ의 표기• 어두의 ㅇ: 표기하지 않음 (아 → a)
• 어중, 어말의 ㅇ: ng로 표기 (강 → gang)

인명 표기 특례

중요관용 표기 허용•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로마자 표기는 허용
• 예: 이승만 → Lee Syngman (표준: I Seungman)
• 김대중 → Kim Dae-jung (표준: Gim Daejung)
이름의 하이픈 사용• 이름의 음절 사이에 하이픈(-) 사용 가능
• 예: 김민수 → Kim Min-su 또는 Kim Minsu
• 개인의 선택에 따라 결정
성씨의 특별 표기• 일부 성씨는 관용적 표기가 널리 사용됨
• 예: 이 → Lee (표준: I), 박 → Park (표준: Bak)
• 개인이 선택할 수 있음
공식 출처본 내용은 국립국어원에서 제정한 「국어의 로마자 표기법」을 정리한 것입니다.
관련 법령•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4-42호 (2014.12.5.)
• 「국어기본법」 제14조 (국어의 로마자 표기)
• 「국어기본법 시행령」 제13조 (로마자 표기법)
최종 업데이트: 2025. 9. 26.
정확한 표기법은 국립국어원 공식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